산업별 리포트 해석 및 투자 전략

🇺🇸미국發 25% 관세 폭탄! 2차전지 산업의 위기와 투자 전략은?(feat.iM증권)

히트맵 2025. 4. 8. 12:37

2차전지.pdf
0.35MB

📅 2025년 4월 초, 미국 정부가 발표한 전격적인 관세 인상 조치로 인해 국내 2차전지 산업 전반에 걸쳐 불확실성이 급격히 커졌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이슈의 핵심 요약과 함께, 전망 및 ETF 중심 투자 전략을 정리해드립니다.


📌 이슈 요약: 미국의 대규모 관세 정책

  • 미국 정부는 전 수입품에 10%, 한국 포함 주요국에는 25%의 상호관세 부과 결정
  • 국내 배터리 산업은 미국 전기차 시장에 강하게 의존하고 있어 직격탄 우려
  • 이로 인해 셀/소재 업체의 실적 하향 압박미국 생산비용 급증 가능성 대두

⚠️ 예상 영향

1. 전기차 수요 위축

  • 완성차 OEM들이 관세 부담으로 인해 가격 인상
  • 결과적으로 EV 판매 둔화 → 국내 셀/소재 업체 출하량 감소 우려

2. 생산비 급등

  • 대부분 소재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
  • 관세 반영 시 셀 제조원가 17% 상승 추정 → 수익성 압박

📉 투자 판단: 단기 Underweight, 중장기 선택적 접근

🔻 단기적 관점

  • 미국향 출하 감소 + 관세 전가 실패 시 이익률 16% 이상 하락 가능성
  • 단기적으로는 비중 축소 및 리밸런싱 권고

🔄 중장기 관점

  • 미국 내 현지화 전략 강화 + 중국 업체 배제 정책 유지 → 한국 업체 여전히 핵심 공급망
  • 전략적 진입 기회 모색 가능

📈 ETF 중심 투자 전략

ETF명구성전략
TIGER 2차전지테마 국내 셀/소재주 중심 단기 조정 가능성 → 비중 축소 검토
KODEX 미국2차전지산업 미국 소재주/현지 셀기업 포함 IRA 정책 수혜 지속 → 중장기 대응 가능
LIT (Global X Lithium & Battery Tech) 글로벌 밸류체인 지역 분산형 포트폴리오로 방어적 투자 가능

🛡️ 방어적 대안 ETF 제안

  • 🔌 IDRV (전기차 + 충전 인프라) → 인프라 부문은 여전히 성장 여력
  • ⚙️ COPX / PICK (광물·구리 ETF) → 공급망 다변화 수혜 가능성

✅  투자 조언

  1. 2차전지 업종은 단기 조정 예상 → 비중 축소
  2. IRA 수혜 유지되는 미국 현지화 ETF로 리밸런싱
  3. 원자재/인프라 ETF로 일부 자산 이동해 방어 전략 확보
  4. OEM-셀 가격 협상 이슈 모니터링 → 재진입 타이밍 판단 필수

📌 Tip: 당장의 공포에 휩쓸리지 말고, 현지화·중장기 구조 변화에 주목하세요. 위기 속에서도 ‘구조적 수혜주’는 반드시 존재합니다.